top of page

Space · Space-Less
 
김인겸, 김산
더 소소
2023. 10. 13 - 11. 10

기획의 글

 

Space · Space-Less

 

김재도 (미술비평)

 

 

⟪Space · Space-Less⟫전은 각각 조각과 사진이라는 상이한 매체를 사용하는 김인겸과 김산의 2인전이다. 사용하는 매체의 차이는 이 두 작가가 작품의 주요 모티브를 ‘공간’에서 찾는 것에서 점접을 갖는다. 이러한 차이와 공통점에 착안하여 ‘Space · Space-Less’라는 전시 제목이 도출되었다. Space-Less는 김인겸의 후기 작업의 제목이기도 하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작가는 ‘공간’이라는 주제에 천착하는데, 이러한 공통점은 그 접근 방식이나 이를 표현해 내는 방향에서 차이를 보이면서도 뜻하지 않은 지점에서 만나는가 하면 다시 멀어지는 모습 또한 보여준다. 일견 결과물에서 보이는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작가의 작품을 ‘면 (plane)’이라는 요소를 통해 함께 바라볼 수 있다.

 

Space

김인겸의 작업을 시기별로 일별해 보면 1970년대 초창기 작업 <생성 Creation> 시리즈와 1980년대 중반까지의 <환기 Ventilation> 시리즈를 제외하고는 1987-1999년 <묵시공간 Revelational Space>, 1992-1995년 <Project>, 1999-2006년 <Emptiness>, 2007년 이후 <Space-Less> 시리즈 모두 작품 제목에서 부터 ‘공간’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중 <Project> 시리즈만이 직접적으로 ‘공간’을 함축하지 않는 제목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기획’, ‘계획’으로 번역할 수 있는 ‘Project’라는 제목을 통해 기존의 조각 어법을 확장시켜 작품과 그것이 놓이는 공간과의 관계를 보다 강조하는 설치 작업의 비확정적 특성을 드러내기 위함이었다. 더불어 김인겸은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탐구를 통해 ‘사유(thought)’의 영역, 정신적 영역을 열어가고자 하는 열망을 피력한 바 있어, 결국 그가 다다르고 싶어 한 지점은 비가시적이고 비물리적인 ‘공간’이라 볼 수 있다.

 

김산의 경우 2014년 첫 개인전 ⟪Perpective⟫에서부터 지속적으로 <Structure> 시리즈를 선보여왔다. <Structure> 시리즈는 시각 예술 특히 회화 등의 평면 작업에서 2차원의 면이라는 한계 안에 어떻게 3차원의 실제 공간을 ‘그럴듯’ 하게 구현할 것인가라는 문제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시각’ 또는 ‘원근법’이라는 의미의 ‘perspective’를 구조(sturucrue)의 문제를 가지고 풀어내는 작업이다. 여기서 특기할 점은 김산의 작업은 평면 작업이되 디지털 이미지를 사용한 사진 작업이라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사진은 카메라라는 장치를 통해 입체로서의 피사체를 있는 그대로 평면으로 복제해내는 것이기 때문에 회화와 달리 작업의 주체가 이미지를 자유롭게 구현해낼 수 있는 여지 내지는 가능성이 제로에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김산의 작업은 역설적으로 이 제로 지점에서 출발하여 평면의 이미지를 통해 작가 특유의 ‘perpective’가 관통하는 구조를 구축하는 공간성을 드러낸다.

 

Space-Less

김인겸의 작업은 덩어리로서의 물리적 실체를 요체로 하는 조각을 통해 비물질적인 공간을 어떻게 점유하고 드러내며 때로는 감춤으로써 강조하는 지속적인 탐구였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이러한 작업 여정은 후반으로 갈수록 덩어리가 아닌 면으로 이동한다. 이 경로에서 얇은 금속 판재를 이용한 <Emptiness>에 이어 무게와 부피, 덩어리를 소멸시켜가며 종국에는 공간마저도 소거하고자 하는 “Space-Less”에 이르게 된다. 특히 <Space-Less> 시리즈는 도불 이후 시작된 스퀴즈를 이용한 페인팅 작업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995년 베니스비엔날레 100주년을 맞아 건립된 한국관 대표작가로 선정된 이후, 1996년 퐁피두 센터의 초대로 파리에 체류하기 시작한 작가는 한국과는 다른 작업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페인팅 작업을 시작했다. 통상적인 붓이 아니라 면과 그 면들의 겹침을 통한 깊이와 공간의 표현을 위해 넓적한 스퀴즈, 스펀지 등을 사용했다. 이런 새로운 시도는 조각 작업으로 이어져 체적과 매스를 최대한 축소시킨 조각 작업이 등장하는데, 이때 전시장 바닥에 직접 놓이는 작업은 물론 벽에 거는 형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전통적인 조각의 언어에 전면적으로 도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김산의 작업은 바로 사진과 평면의 한계 지점에서 출발한다. 사진 이미지가 갖는 ‘사실성’(reality)의 문제에 디지털 이미지 변용 및 구축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이때 작가는 디지털 이미지라는 비물질적인 소재를 마치 물리적 실체가 있는 물질을 다루듯이 자르고 붙이고 재구축하여 각각의 구조를 지니게 함으로써 사진과 피사체간의 전통적인 관계, 즉 재현, 지시 등의 관계를 해체시킨다. 이렇게 해체되고 재구축된 김산의 작업은 건축물 등을 촬영한 원본 공간 이미지에서 출발하되 특정 대상을 재현하거나 지시하지 않음으로 ‘사진(寫眞)’ 의 사전적 의미에서 탈주한다. 물질적으로 다뤄진 이미지는 출력되어 물리적으로는 (평)면의 모습을 갖게 되지만 이는 작가가 구축한 구조를 갖는 개별적인 공간성을 형성한다. 입체적인 대상에서 출발하여 평면적인 매체에 의해 매개된 면들이 구조를 갖도록 작가가 생성하는 가상적인 공간의 구축이라 할 수 있다.

 

Space · Space-Less

이렇게 김인겸과 김산은 면에 주목하여 공간을 표현하는 각자의 조형 언어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만나게 된다. 김산은 입체적인 대상을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를 평면에 구현함에 있어 작가의 시점(perspective)으로 재구축한다. 이때 각각의 작업이 고유의 구조를 지니게 함으로써 촬영된 특정 대상의 장소성이 소거된 자리에 특이성이 발현되는 새로운 공간성을 생성시킨다. 이때 면의 구축이 특징이다. 김인겸은 조각이라는 입체적 실체의 출발점을 잉크가 뭍은 넓은 스퀴즈가 지나가는 평면에서 찾는다. 입체이되 매스와 부피를 지니지 않아 흡사 공중에 떠있는 것 같은 환영을 만들어내는 면들의 겹침은 실질적으로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역으로 무한의 공간을 은유하며, 사유의 길로 이끈다.

 

이번 ⟪Space · Space-Less⟫전에는 김인겸의 파리 체류시절 조각 작업을 선보여 그의 면적인 조각의 시발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녹이 슨 철판 작업은 더 소소 갤러리가 위치한 을지로 공구 거리와 오래된 건물들이 자아내는 분위기와 조응할 것이다. 김산은 지금까지의 작업 활동을 되돌아보며 기존에 개인전을 가졌던 전시 공간을 모티브로 한 신작을 선보인다. 자신의 작품이 전시되었던 공간을 작품 속에서 재구축하고 그 안에 첫 개인전에서 선보였던 작업을 액자식 구성으로 배치하여 겹겹으로 구축되는 공간과 시간을 보여준다.

Curatorial Statement

 

Space · Space-Less

                                                      

Kim Jaedo (art critic)

 

Space · Space-Less is a duo exhibition of Kim In Kyum and Kim San who use different mediums of sculpture and photography,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in their mediums are connected by the fact that both artists find the main motif of their works in “space”.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pace · Space-Less, is based on thes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Space-Less is also the title of Kim In Kyum’s late works. As the title suggests, both are preoccupied with the theme of “space”, and this commonality is reflected in their differences in approach and the direction of expressing, but also in how they meet at unexpected points and drift apart again.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ir outcomes, their oeuvre can be viewed together through the element of “plane”.

 

Space

Upon categorizing Kim In Kyum’s works by period, the series of Revelational Space (1987-1999), Project (1992-1995), Emptiness (1999-2006), and Space-Less from 2007 onward all show a close connection to “space” in their titles, except for the Creation series from the early 1970s and the Ventilation series from the mid-1980s. Only the Project series uses a title that does not directly imply “space”, as the title Project, which can be translated as “planning” or “scheme”, expands the existing sculptural grammar to reveal the indeterminate nature of the installation, which emphas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space in which it is placed. In addition, Kim In Kyum has expressed a desire to open the realm of “thought” and the mental realms through his exploration of physical space, so the point he wanted to reach was the invisible and non-physical “space”.

 

Meanwhile, Kim San has been presenting the Structure series since his first solo exhibition Perspective in 2014. The Sturucture series is a work that solves the issue of Perpective, meaning “view poin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question of how to “plausibly” realize an actual three-dimensional real space within the limitations of a two-dimensional surface in flat works in visual arts, especially painting, with a problem of structure. It is worth mentioning here that his work is a flat work, but a photographic work using digital images. As you may know, photography is a flat reproduction of a three-dimensional subject through the device of a camera, so unlike painting,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lmost no room for the artist to freely represent the image. However, his work paradoxically starts from these zero points and reveals a spatiality that builds a structure through which his unique “perspective” penetrates through the flat image.

 

Space-Less

Kim In Kyum’s work can be seen as an ongoing exploration of how immaterial space is occupied, revealed, and emphasized it by hiding, through sculpture, with the physicality of the mass as a key element. As such a journey of his is reaching its end, it moves away from the mass toward the plane. This path leads to Emptiness, which uses thin metal sheets, and then to Space-Less, which seeks to erase weight, volume, and mass, and eventually even space. The Space-Less series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that it began with squeeze painting, a process that began after he moved to France. After being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artist for the Korean Pavilion built for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Venice Biennale in 1995, he moved to Paris in 1996 at the invitation of the Le Centre Pompidou and began painting upon adapting to a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from Korea.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brushes, he used wide squeegees, sponges, etc. to express depth and space through planes and their overlaps. These new attempts led to his new sculptural works, in which he reduced the volume and mass as much as possible. It is noticeable that he is boldly challenging the traditional language of sculpture by actively introducing wall-hanging formats as well as works that are placed directly on the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Kim San’s work starts from the limits of photography and the flat surface. He enthusiastically introduce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and constructing digital images to the “reality” issue of photographic images. Here, he deconstructs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 and subject for photography, such as representation and indication, by cutting, pasting, and reconstructing the immaterial material of the digital image as if it were a material with physical substance, allowing it to have its own structure. Kim’s work, which is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in this way, departs from the dictionary meaning of “photography” by starting from original spatial images of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but does not reproduce or direct specific objects. The materially manipulated images are printed out and physically have the appearance of a (flat) plane, but they form an individual spatiality with a structure he built. He creates a virtual space that starts from a three-dimensional object where the planes mediated by a flat medium could have a structure.

 

Space · Space-Less 

In this way, Kim In Kyum and Kim San meet in that they each adopt a artistic language that expresses space by focusing on planes. Kim San reconstructs digital images of three-dimensional objects from his perspective as they are realized on a flat plane. By allowing each work to have its own structure, he creates a new spatiality where specificity is expressed in the place from where the site of the photographed object is erased. What makes it special is the construction of planes. Kim In Kyum finds the starting point for the three-dimensional entity of sculpture in the plane of a wide inked squeegee. The overlapping of the planes, which create the illusion of floating in the air because they are three-dimensional but have no mass or volume, minimizes the space they occupy, metaphorizing infinite space and leading to a path of thought.

The Space · Space-Less exhibition will showcase sculptures from Kim In Kyum’s time in Paris, which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the beginnings of his plane-oriented sculptures, while his rusted iron plate works will match the atmosphere of an Euljiro street with many tool shops where The SoSo is located together with rundown buildings. Kim San presents new works based on the motif of the exhibition spaces where he has previously held solo exhibitions in being retrospective of his past work. He reconstructs the space where his works were exhibited in his new work and places the works from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a framed composition within it, showing the layered construction of space and tim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