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幕 curtain

 

서혜영

2010. 5. 14 - 6. 27

막(膜)에서 막(幕)을 바라보다
 

<막幕>전시에서 보여주는 서혜영의 작업은 지극히 삶의 공간에서 출발한다. 현재의 작품을 축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미술의 근원적 어원을 찾기 위한 뼈(손가락, 발가락, 쇠골, 갈비 등의 파편화된 뼈 구조를 수지로 형상화)에 대한 연구라던가, 도시의 건축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최소 단위인 브릭(brick)을 조형적 형태로 행한다거나, 또한 브릭을 시간과 공간 개념에 대입시켜 다양한 구조설치형태, 오브제, 영상, 회화 등의 방식으로 취하는 모든 행위가 삶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낱낱의 기호와 언어의 이미지였다.

서혜영은 최소한의 주체적 관점에서 모든 사물에 관한 인식의 관점을 파헤치듯, ‘뼈’를 관념의 첫 시도로, ‘브릭’을 공간 조형의 현상학적인 측면에서 시작한다. 즉 개념적인 접근(1995-1996)에서 조형적 구조로 변형하고, 확장하고, 실험하는 방법(1997-2003)을 취하고, 이를 다시 평면으로 이동하여 장소적 관점으로 해석(2004-2007)하다, 지금은 일상적인 삶의 공간을 화두로 그 해석을 다시 고쳐 쓰고 중첩(2008-2010)시킨다. 

16년간을 이어오며 그 단계마다 현재적 시점에서 인식되었던 무수한 맥락과 관점들은 그의 기억된 장소에 각각의 켜나 혼재된 층을 이루고 있다. 그 시간들은 ‘막幕’(장소를 가리는 막, 연극의 단락)과 또 다른 ‘막膜’(인식의 막, 꺼풀, 현상)으로 다가오며, 작가의 주관적 해석에 따른 비현실적인 공간으로 진행된다. 밀실과 광장 사이의 시각적 통로로 인식되어온 브릭은 평면(적) 레이어 속에서 두 공간을 교차시키는 ‘幕’의 중간적인 ‘間’(여기와 저기를 잇는 사이 또는 관계)의 역할을 하며, 멀리서 보면 아련한 망점의 ‘膜’처럼 묘한 아우라를 생기게 한다. 브릭은 건축물 속에서 밖으로 나갔다 평면 속 뒤의 막(幕)으로 들어왔다. ‘안과 밖과 안’으로 이어지는 날숨과 들숨의 호흡이 오랜 시간에 의한 축적으로 마치 연극적 파노라마를 연상시킨다. 

시나리오 소주제들은 <밤을 위한 Fiesta 1, 2>, <이동의 경계 3>, <광장>, <사색의 탄환 3>, <폐허의 정원>, <잠재대화> 등으로 나눠진다. 각각의 소주제들은 서혜영이 매일 집과 작업실을 오가며 보고-느끼고-기억되는 것들을 오버랩 시킨 것이다. 스치는 찰나의 장면들이 매일 매일 자신의 일기처럼 몸에 기록되고, 잔영으로 남아 결과적으로 자기 집을 짓듯 각기 다른 소주제들의 내용에 맞는 레이어들로 촘촘히 치밀하게 구축되어 있다. 그 장면들은 우리들의 일상에서 익히 보고 느꼈던 꽃, 사람, 광장, 도서관, 도로, 산, 건축물구조 등의 이미지들을 캔버스, 장소, 幕의 서로 다른 차원으로 은유(메타포)하여 ‘site-specific’한 구조로 가져간다. 이때, 장소는 동시대의 사회와 공간에서 발생하는 ‘결핍 현상’에 대한 반응의 결과를 상징화한 것이며, 幕은 그 결과를 응집시키는 관계인 동시에 ‘지금, 여기’에 일어나는 동시성을 의미한다. 이 둘을 구축하는 캔버스는 0.2cm 정도 두께의 측면에서 발현되는 환영이자 무대이며, 작가의 몸이자 벽면이다. 

특히 이번 <막>에서는 소실점들이 분산되거나 해체되어 화면 너머 幕으로 숨었다. 화면이 중요한 매개의 역할을 하며 두 개 혹은 세 개의 지점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그가 추구하는 비현실적인 세계의 공간의 환영을 불러일으킨다. 익숙하지만 낯선, 이것과 저것을 한 장소에 위치시키는 것 자체가 아이러니한 특성을 지녔다. 또한 다른 ‘site-specific’한 것을 일관성 있는 구조로 만든 것은 幕과 膜이다. 이 두 개의 켜로 서혜영이 인지하는 모든 공간과 현상들을 불러 모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밤을 위한 Fiesta 2>와 <폐허의 정원>에서 의미하듯 시간과 장소를 멈추게 하는 지점은 다음의 막(幕)과 장(場)을 여는 동시에 끊임없이 생각할 수 있는 너머의 세계이다. 이제 서혜영의 환상이 펼쳐놓은 적막하고 평온한 일상의 레이어들을 즐기면 된다.

이관훈(큐레이터, Project Space 사루비아다방) 

 

Curtain , Haiyoung Suh's solo exhibition 


“Bricks - the Interface of Phenomenal World and Place"

In her solo show titled Curtain, the artist Suh Haiyoung presents works inspired by scenes from the real life. In her most recent works we find her studying bones--she shaped fragmented skeletal structures such as bones of the finger, toe, rib and clavicle using resin--perhaps in her search for the very root of art. We also find her creating various forms and structures with bricks, the most typical and smallest unit composing urban buildings. Taking this brick motif to another level, she places it in the context of a temporal and spatial concept, utilizing it to structure an installation, or as an object, or employing it in diverse art forms such as video and painting. These efforts have produced signs and linguistic images that constitute the space in which we lead our lives.

With bones as objects, Suh's approach was primarily conceptual. As she transitioned to the brick motif, her focus shifted to the phenomenology of spatial forms. In these endeavors Suh appears to be exploring the way we perceive things, while minimizing the interference of her subjectivity in the effort. She started off with a conceptual approach (1995-1996), after which she experimented with form and structure (1997-2003). She then returned to the two-dimensional plane, interpreting her object with a focus on the place (2004-2007). Most recently her theme is the everyday space of life, and she is now in the process of revising her interpretations and creating layers of them for a special overlapping effect (2008-2010).

Over the course of 16 years, numerous contexts and views had emerged and were understood from a perspective that was current at each point in time. They now form layers independently or are combined with others in the places in which they are remembered. These times stored in memory are in a way like individual acts in a play or the curtain that closes and opens to signal the change of scene. They also seem like a thin film, each when lifted leads to new perception. These moments will unfold like an unrealistic space that exists only as a function of one's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 bricks, which were seen as the visual corridor between the secret room and the open square, serve as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different spaces. Seen from afar, the bricks generate a mysterious aura like a film of halftone dots. Suh's bricks were taken out of the buildings they were part of and flown behind the curtains that are drawn in the back of the plane. The moving in and out and back in, or the alternation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builds itself with time into a theatrical panorama.

The sub-themes of this drama are: Fiesta for Nocturn 1 & 2, <Borders to Movement 3>, A Square, A Shot of Cogitation 3, A Garden in Ruins, and Dormant Dialogue. Each theme is composed of what the artist has seen and/or felt as she commuted between her home and studio everyday. Each fleeting yet memorable scene is recorded on the artist's body like a diary, leaving traces that pile up layer after layer. The scenes in and of themselves are quite mundane. The images of flowers, people, squares, libraries, roads, mountains, and buildings are metaphorically translated onto a canvas, a place, or another dimension of the curtain to build a site-specific structure. Place, in this context, symbolizes the response to deficiency that exists in today's society and space. The Curtain is the relationship that cohesively holds together the outcomes and the simultaneity of what is happening here and now. The canvas that serves as a platform for the Place and the Curtain is itself the phantom emerging from that 0.2cm thickness and its stage, the artist's body and the wall all at the same time.

In this Curtain, the vanishing point has been split and deconstructed, its fragments hi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Curtain. The pictorial plane serves as an important medium. It connects two or three points in space in a plausible way and invokes a specter of an unnatural place she pursues. There is visible irony in juxtaposing in a single place seemingly random objects that are both familiar and strange. She has also imbued a sense of consistency in what is site-specific by the use of the Curtain and the Film. The two layers are intertwined and can invoke all spaces and phenomena Suh may have perceived. As expressed in Fiesta for Nocturn 2 and A Garden in Ruins, the point at which time and place freezes is in the other world where one may go on imagining about the next Act and the next Chapter. Suh Haiyoung has laid out for our enjoyment a phantasmagoric world consisting of layers and layers of a life peaceful, quiet and mundane. We need only to accept the invitation. 

Kwan-Hoon Lee(Curator Project Space Cafe Saluvia)

bottom of page